-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
-
기계·로봇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
- 자동차공학기술자
자동차공학기술자 커리어룸
하는일
각종 차량의 차체, 엔진, 제동장치, 차대 및 기타 구성품에 관하여 연구 및 설계하며 개발 및 제조를 계획·감독한다.
자동차공학기술자에 대해
자동차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자동차의 설비, 기능 및 성능에 관한 해박한 지식이 필수이므로, 대학에서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및 전기‧전자공학 등을 전공하고 관련 업체나 연구소에 취업해야 연구·개발 및 설계·생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계계열 관련학과에서 이수하는 유체역학, 열역학, 고체역학, 동역학 등의 공학적 원리와 적용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 요구되며, 자동차 제조에 관련된 특수공정분야의 지식도 습득해야 한다. 또한 전기․전자 관련학과에서는 전장시스템 및 회로로직 등에 관한 수업을 이수한 후 자동차의 전장설계, 엔진 및 주행․제동 제어 등에 대한 응용적인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전문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현장 실무경력을 통해 자동차공학기술자가 될 수도 있지만, 추가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연구·개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석사 이상의 학위와 그에 걸맞은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능력, 지식, 환경
- 업무수행능력 :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9)/기술 설계(99)/품질관리분석(98)/재정 관리(97)/기술 분석(96)
- 관련지식 : 공학과 기술(100)/물리(100)/산수와 수학(99)/기계(98)/상품 제조 및 공정(98)
- 환경요건 : 개인지향(97)/애국(93)/성취(91)/지적 추구(88)/경제적 보상(88)
교육, 자격, 훈련
- 관련 교육 : 공학과 기술(100)/물리(100)/산수와 수학(99)/기계(98)/상품 제조 및 공정(98)
임금, 직업유망성, 전망
- 직업전망 : 증가(50%) 현상유지(50%) 감소(0%)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250만원, 평균(50%) 4986.4만원, 상위(25%) 5800만원
- 직업 만족도 :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