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배경 로딩중..
마인플래닛
직업위키

빅데이터분석가 커리어룸

하는일

사람들의 행동 패턴 또는 시장의 경제상황 등을 예측하며 데이터 속에 함축된 트렌드나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대량의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한다.

빅데이터분석가에 대해

빅데이터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고도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대학에서 통계학 또는 컴퓨터공학, 산업공학 등을 전공하면 기술적인 베이스를 갖추는 데에 도움이 된다. 경영학이나 마케팅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쌓아두면 기술적인 베이스와 융합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빅데이터 전문가는 드러난 수치를 단순하게 나열하는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영학이나 마케팅 분야의 지식이나 경험과 관련이 깊다. 인문학 전공자라면 통계학을 추가로 공부하면 된다. 기존 직장인들은 단기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자기개발 차원에서 빅데이터를 연구하는 추세다. 각 대학의 빅데이터 관련 학사나 석박사 과정에서 준비할 수 있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충북대와 울산과기대 석사과정, 이화여대 석·박사 통합과정, 카이스트, 국민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 빅데이터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서강대학교,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에도 단기 교육과정이 있고, 빅데이터활용센터, 빅데이터아카데미에서도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분석에 있어서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에 호기심도 중요하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분석과정을 인내하기 위한 끈기와 꾸준히 공부하는 자세도 필요하다.

능력, 지식, 환경

  • 업무수행능력 : 수리력(96)/전산(95)/논리적 분석(92)/추리력(90)/기술 분석(89)
  • 관련지식 : 산수와 수학(100)/컴퓨터와 전자공학(96)/사회와 인류(95)/영어(92)/국어(81)
  • 환경요건 : 지적 추구(89)/신체활동(86)/심신의 안녕(82)/다양성(77)/애국(74)

교육, 자격, 훈련

  • 관련 교육 : 산수와 수학(100)/컴퓨터와 전자공학(96)/사회와 인류(95)/영어(92)/국어(81)

임금, 직업유망성, 전망

  • 직업전망 : 증가(87%) 현상유지(13%) 감소(0%)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917만원, 평균(50%) 4454.8만원, 상위(25%) 5500만원
  • 직업 만족도 : 75.3

관련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