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미지

플라스틱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건설·기계·재료·화학·섬유
화학관련직


처음화면으로 직업탐사에서 보기

필요 기술 및 지식

플라스틱제품생산기조작원이 되는 길로서 고교나 전문대이상의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각 제조사에 취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공과 관련된 자격증을 소지할 경우 취업에 유리하다. 한편 환경 및 안전에 대한 관심 고조로 산업안전, 소방설비, 가스 등의 안전관리자격증이나 대기환경, 수질환경, 폐기물처리 등의 환경분야 자격증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해당사에 입사하게 되면 일정 기간에 해당하는 수습기간을 거쳐 제조공정에 관련된 제반업무를 익히게 된다. 이러한 수습기간 동안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오리엔테이션 및 소정의 연수과정을 거친 후 인력 운용상황에 따라 실무부서에 배치받게 된다. 플라스틱 제조에 관한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공정을 숙지하여야 하며 새로운 기계나 공법에 관한 신기술습득 등의 능력을 계속적으로 배양하여야 한다. 이들은 주로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일자리 전망

향후 5년간 플라스틱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플라스틱제품생산기조작원은 82천명으로 향후 5년간 6천명, 향후 10년 간 (2015-2025) 9천명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저유가 기조와 함께 플라스틱제품 분야의 수요 증가가 고용증가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플라스틱제품 분야는 가공성이 우수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춘 제품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개인의 개성 추구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은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플라스틱 제조업 분야에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에 관심과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일반 범용 플라스틱과 달리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 기계부품이나 구조재료 등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하며,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기계·전기전자 부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시장 확대가 기대되며, 수요 성장률도 연평균 8% 이상 고성장이 예상되고 있어 국내 플라스틱 제조업체에서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여 관련 일자리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정적인 요인으로 국내 인건비 상승 및 물류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해외로 이전하거나 자동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출의 중국의존도가 커지면서 중국의 자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고용에 부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