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상세 정보
금형원
각종 금속공작기계, 수공구 및 정밀측정기를 사용하여 금형을 제작·보수·정비한다.
진로 설계
직업훈련기관에 프레스금형, 사출금형, 전산응용프레스금형과정 등 금형원이 되기 위한 단기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정규교육과정으로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금형과, 금형설계과, 금형관리과 등과 전문대학 이상의 금형설계학과, 컴퓨터응용금형과 등이 있다. 금형원의 훈련 및 교육과정을 보면, 금형제작과 금형성형으로 나누어지는데 금형제작은 정밀측정, 금형공작법, 밀링 및 연삭가공, CNC 공작, 금형 및 성형재료, 프레스금형제작, 사출금형제작 등을 배우게 된다. 금형성형은 프레스기계, 사출성형기, 치공구 사용법, 금형 설치법, 성형품 검사 및 불량대책, 정밀측정 등을 배우게 된다. 이 외에도 CAD/CAM 기술 및 수치제어공작기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및 훈련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전공 학과
재료·금속공학과
교육, 자격, 훈련
관련자격증
금형기술사(국가기술)
금형제작기능장(국가기술)
비파괴검사기술사(국가기술)
전기기능사(국가기술)
프레스금형설계기사(국가기술)
사출금형산업기사(국가기술)
능력, 지식, 환경
필요 업무능력
작동 점검(81)
기술 분석(77)
품질관리분석(74)
고장의 발견.수리(74)
조작 및 통제(70)
필요 지식
상품 제조 및 공정(99)
기계(97)
공학과 기술(90)
안전과 보안(76)
교육 및 훈련(52)
성향
경제적 보상(47)
자율(29)
성취(27)
신체활동(21)
개인지향(18)
환경
오염물질 노출(99)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8)
위험한 장비 노출(98)
소음 노출(96)
온몸 진동 노출(96)
임금, 직업유망성, 전망
- 직업전망 : 증가(10%) 현상유지(23%) 감소(66%)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25만원, 평균(50%) 3700만원, 상위(25%) 4403만원
- 직업 만족도 :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