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상세 정보

마취병리과의사

수술전·후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환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징후(vital sign)를 점검하고 마취를 관장한다.

진로 설계

의사가 되려면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의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또한 의과대학이 아닌 다른 일반학과를 졸업한 후 총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의사국가면허시험을 통과해도 의사가 될 수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의학을 공부할 수 있는 곳은 10개의 국립대학(서울대학교 등)과 31개의 사립대학(고려대학교 등)이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6년(의예과 2년 및 의학과 4년) 동안 해부학, 조직학, 병리학, 예방의학, 의공학, 약리학, 감염학, 임상실습 등을 배운다. 2017년 1월에 시행된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의사면허시험에 3,336명이 응시하여 3,095명(92.8%)가 합격하였다. 특정분야를 전문으로 하지 않고 진료하는 의사를 ‘일반의사’라 한다. 의사면허를 취득한 후에 인턴과정 1년과 레지던트과정 4년(예방의학과, 결핵과, 가정의학과 3년)의 과정을 거쳐 각 분야의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전문의사‘라고 한다. 전문의사는 총 26과의 전문분야(산부인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신경과 등)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는 사람의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전공 학과

의학과

교육, 자격, 훈련

관련자격증
의사(국가전문)

능력, 지식, 환경

필요 업무능력
시력(98) 선택적 집중력(98) 반응시간과 속도(97) 서비스 지향(96) 정교한 동작(96)
필요 지식
의료(100) 생물(100) 심리(96) 상담(96) 영어(91)
성향
경제적 보상(97) 애국(93) 고용안정(91) 성취(91) 이타(90)
환경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 실수의 심각성(100)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9) 결과에 대한 책임(97)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강도(97)

임금, 직업유망성, 전망

관련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