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미지

원자력공학기술자

식품·환경·농림어업·군인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및생산단순직


처음화면으로 직업탐사에서 보기

필요 기술 및 지식

원자력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원자력공학과, 기계공학, 전기공학, 토목공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다. 취업 시 자격증 소지가 필수는 아니지만 소지자는 우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 연구소, 정부 출연 연구기관 및 민간기업 연구소, 정책연구기관 등으로 취업할 경우 석박사 학위가 요구된다. 원자력공학기술자는 주로 원자력 연구원과 원자력안전기술원, 통제기술원 등 유관기관 그리고 한전 및 한전의 자회사 등 원자력산업계에서 활동한다.

일자리 전망

향후 5년간 원자력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력은 국내 전력 수요의 30%를 담당하는 등 매우 중요한 국가에너지 주요 원천이다. 원자력은 미세먼지와 CO2를 배출하지 않아 기후변화나 미세먼지 문제에 있어 절대적인 우위가 있었고 낮은 전기요금의 유지와 함께 유가변동에 대한 안전성을 제공해왔다. 우리나라 원자력기술 수준도 상당이 높아 UAE플랜트 수출과 SMART원전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 요르단의 연구용원자로 준공 등 해외에서 높은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도 제2차 에너지계획에서는 2035년까지 원전 비중을 29%까지 유지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신정부 들어서면서 탈원전?탈석탄화 공약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본 공약의 주요 내용은 원전사고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신규 원전 전면 중단(신고리 5, 6호기) 및 40년 후 원전 제로 국가체제를 갖춘다는 탈원전 로드맵이다. 구체적으로 준비중인 신규 원전 건설계획의 전면 백지화, 원전 설계수명 연장 금지, 월성 1호기의 조기폐쇄 등이다. 정부는 탈원전을 위해 에너지를 LNG와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 안전을 위한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방향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고 있지만 문제는 추진 속도로 보인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가속화된다면 원자력산업 분야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신규 건설 없이 기존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및 안전관리 등에 주력할 것으로 보이며 상당부분 신재생에너지 개발로 사업이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신규채용 인력은 감소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업계 전체의 일자리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원자력산업실태조사결과(2015)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06-2015) 원자력 분야의 기술 및 연구개발 인력의 고용은 연평균 7.9%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