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미지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식품·환경·농림어업·군인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및생산단순직


처음화면으로 직업탐사에서 보기

필요 기술 및 지식

토양환경기술자가 되기위해서는 대학에서 환경공학, 환경학, 화학, 지질학, 토목학, 생물학, 농화학 등을 전공하면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토양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오염된 토양을 회복하는 데 환경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생물학적, 화학적 방법 등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관련자격으로 토양환경기사가 있으며 이를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할 수 있다. 경력이 쌓이면 토양환경기술사를 취득하거나 관련업체를 창업하여 독립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종합건설업체, 토양시험, 분석, 저감기술개발업체 등에서 근무하며 농촌진흥청, 한국광해관리공단 등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근무하기도 한다.

일자리 전망

향후 5년 동안 토양환경공학기술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범세계적으로 환경규제 강화와 환경의식의 급신장으로 환경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환경오염 문제로 인한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고 국민들이 체감하는 안전에 대한 위협도 커지고 있어 정부에서는 기술개발 및 환경안전 대책을 수립하는 등의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에서도 환경문제의 발생은 손해액뿐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에도 타격을 입을 수 있어 환경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토양환경에 대한 오염 물질과 기준도 확장,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는 ?토양환경보전법?상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유류, 유기용제 등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21개 물질을 규제대상 토양오염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물질에 대하여 사람의 건강 및 재산, 동?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정도의 토양오염도인 ‘토양오염우려기준’과 우려기준을 초과하여 사람의 건강 및 재산, 동?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어 토양오염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는 ‘토양오염대책 기준’을 정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5년 동안 토양 및 지하수 관련 기술 개발 사업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토양?지하수 환경시장의 90%이상을 국내기술을 대체하기 위해 2008년부터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향후 5년 동안에도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사전예방기술, 오염조사기술, 오염정화복원 기술, 사후관리기술 등의 개발에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경제성장과 비례하여 향후 토양 및 지하수 오염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 이에 따른 조사, 복원 및 관련 기술에 대한 노력은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중국 등 해외수출을 통해 더욱 산업을 성장시킬 것이다. 참고로 토양환경공학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기술자의 고용은 2015년 13.4천명에서 2025년 15.3천명으로 1.9천명(연평균 1.4%) 향후 5년 동안 다소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