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미지

판금원 및 판금기조작원

건설·기계·재료·화학·섬유
재료관련직


처음화면으로 직업탐사에서 보기

필요 기술 및 지식

판금원이 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의 기계 및 재료관련 학과나 직업전문학교의 산업설비 및 소성가공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좋다. 전문대학의 용접학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컴퓨터응용금속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 등에서 용접이나 판금 등을 배울 수도 있다. 한편, 직업전문학교에는 일반판금, 타출판금, 자동차판금, 제관 등의 훈련과정이 단기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 판금원은 전문대학 이상에서 용접과, 기계과 등을 전공하거나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취업과 업무수행에 유리하다.

일자리 전망

향후 5년간 판금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판금원의 고용을 결정하게 되는 주요 산업은 철강관제조업,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금속탱크, 저장보, 유사용기 제조업 등인데 자동차, 조선산업의 활황에 기인한 전방산업의 효과 및 제품의 다양화 요구에 부응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인해 관련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고기능성 플라스틱, 비철금속 소재 등 신소재 대체 재료의 개발이 확대되고, 공정의 자동화와 기계화로 인력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는 않다. 특히 CAD/CAM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업무 효율화가 이뤄지고 공정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 판금 및 제관 분야의 인력감축이 예상된다. 최근 판금기능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율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판금 분야에서 신규인력수요 창출이 어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한편, 보일러, 덕트, 에어컨 케이스 등의 제작 업무는 숙련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 분야에 종사하는 판금제관 기능공은 어느 정도 고용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 많으므로 판금에 전문기술을 가진 기능공은 취업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년도: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