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미지

임상심리사(심리치료사)

교육·연구·법률·보건
보건·의료관련직


처음화면으로 직업탐사에서 보기

필요 기술 및 지식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다음 임상심리 관련 대학원에 진학하여 보다 전문적인 수준의 임상관련 공부를 마치고 수련 또는 경력을 통해 임상심리사 관련 국가 및 민간 자격증을 취득해야 임상심리사로 활동할 수 있다. 석사 또는 박사학위까지 취득한 후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수련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실제 교육기간은 상당히 긴 편이다. 이들은 정신과병원, 심리상담기관,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센터에서 근무하며 개인 혹은 여러 명이 모여 심리상담센터를 개업하거나 운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회복지기관, 학교, 병원의 재활의학과나 신경과, 심리건강 관련 연구소 등 다양한 사회기관에 진출할 수 있다.

일자리 전망

향후 5년간 임상심리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정신질환은 아니지만 극심한 스트레스 및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 폭력, 우울증, 그리고 직장 내 따돌림 등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놓일 가능성이 높아지며 심리상담에 대한 사회적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신병원이라는 장소에 국한되어 이뤄졌던 심리상담이 학교, 상담소, 기업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임상심리사는 의료인이 아니기 때문에 심리센터를 개업하여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담심리센터 개소가 증가하고 있다. 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임상심리사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 심리상담을 부끄럽게 생각하여 비밀리에 받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고, 대가족 중심의 문화에서 핵가족·1인 가구화되면서 심리적 어려움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없어 외부기관의 의뢰가 많아졌다.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을 통해 언어, 미술, 음악 등을 통해 진단하고 치유하는 센터들도 많이 생겨났으며, 장애인 복지 지원 확대로 바우처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수요자가 증가하였다. 임상심리사 자격시험 응시도 매년 증가하여 2013년 기준 임상심리사 2급은 5,236명이 응시하였으며, 1급도 302명이 응시하였다. 산업인력공단에서 발표한 종목별 접수 상위 5~6위로 임상심리사가 되길 원하는 사람도 많다. 그만큼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취업 범위가 넓어지고 있어 임상심리사의 고용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년도: 2015년>